본문 바로가기

아이폰

iPad, 게임기로서의 성공 가능성은 미지수...매력 충분하나 관건은 실제 수요 ◎ Key Message - Apple의 태블릿 PC ‘iPad’가 게임업계의 또 다른 주요 플랫폼 후보로 거론되고 있다. 모바일게임 시장의 양대 산맥으로 꼽히는 EA와 Gameloft는 기존 iPhone 타이틀 일부를 iPad에 맞춰 고사양 버전으로 출시하는 방안을 벌써부터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진다. 그러나 게임업계 일각에서는 ‘아직 수요조차 검증되지 않는 iPad만을 겨냥해 따로 게임을 내는 것은 모험’이라며 당분간 관망하겠다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 News Brief - ⊙ iPad, 수요만 있다면 게임기로서의 잠재력은 충분 · Apple의 태블릿 단말 iPad가 게임업계의 또 다른 주요 플랫폼 후보로 거론되고 있음 - iPad는 9.7인치 대형 스크린에 1GHz급 프로세서를 갖춰 iPhone.. 더보기
Apple의 태블릿 PC, iPad... 진화인가 혁명인가? Summary 숱한 소문과 추측을 낳았던 Apple의 태블릿 단말이 ‘iPad’라는 공식 명칭과 함께 지난 1월 27일 전격 공개됐다. 실제 발매는 오는 3월부터 시작된다. iPad의 속성은 ‘각종 미디어 콘텐츠를 지원하는 인터넷 접속형 포터블 단말’로 요약되며, HW 스펙과 가격은 처음부터 매스마켓을 겨냥하기에 무난한 수준으로 평가된다. iPhone 등 종전 Apple 단말과 마찬가지로 기능상의 제약은 일정부분 존재하며, 시장 일각에서는 이를 문제 삼아 벌써부터 iPad의 실패 가능성을 속단하는 목소리도 들려온다. 그러나 iPad의 성패를 가를 궁극적인 변수는 ‘스마트폰과 노트북 사이에 굳이 또 하나의 단말이 필요한 이유’를 소비자 앞에 제시할 수 있는지 여부이고, 이는 다시 태블릿 고유의 존립근거를 .. 더보기
스마트폰, 당분간 휴대용 게임기 대체 불가… 아직은 수요층부터 다른 별개 시장 ◎ Key Message - iPhone으로 대표되는 컨슈머 스마트폰이 Nintendo DS나 Sony PSP를 조만간 대체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시장조사업체 NPD에 따르면 이들 휴대용 게임기는 작년 한 해 북미 게임시장의 전체적인 위축세 속에서도 오히려 7% 가량 판매액이 늘었고, 그 주축인 DS는 지난 12월에 한 달 동안에만 331만 대가 팔려 역대 최고 성적을 거뒀다. ◎ News Brief - ⊙ 휴대용 게임기 시장 아직 건재 · 시장조사업체 NPD에 따르면 작년 한 해 북미 시장의 전체적인 위축 속에서도 Nintendo DS, Sony PSP 등 휴대용 게임기 판매는 오히려 7% 가량 늘었음 - 특히 Nintendo DS는 작년 한 해 북미 콘솔게임 시장 전체 판매액의 17%를 차지하며 주류.. 더보기
Google의 스마트폰 Nexus One, 실패하더라도 시사점 많은 단말 ◎ Key Message - Google이 직접 출시한 첫 스마트폰 Nexus One이 고작 2만 대 남짓한 첫 주 판매량에 그쳐 당초 예상에 못 미치는 성적을 거뒀다. 그러나 이통사 대리점을 거치지 않는 Google의 온라인 판매방식은 통신서비스 시장 기존 질서를 재편하려는 속내의 반영이고, 부진한 판매량은 이통사 영업방식이 매스마켓 공략에 여전히 유효함을 역설적으로 입증하고 있는 등 Nexus One에 얽힌 의미는 결코 단순하지 않다. ◎ News Brief - ⊙ Google, Nexus One으로 또 다시 통신시장 질서 재편 의도 시사 · Google이 직접 판매하는 첫 스마트폰 Nexus One은 제휴 이통사 T-Mobile 대리점이 아닌 Google의 온라인 스토어(www.google.com/.. 더보기
올해 말 상용화 앞둔 Verizon의 LTE 서비스, 사용량 기반 요금제 도입 가능성 시사 ◎ Key Message - Verizon Wireless가 올해 말 상용 출시 예정인 LTE 데이터 서비스에 사용량 기반 요금제를 도입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AT&T가 무제한 정액 요금제를 도입해 iPhone 고객의 막대한 데이터 서비스 사용량으로 네트워크 운영에 어려움을 겪어 온 것을 목도한 미국 이통업계에 Verizon을 필두로 사용량 기반 요금제의 확산 조짐이 일고 있는 것이다. ◎ News Brief - ⊙ Verizon, LTE 서비스에 "기본요금+사용량 기반 과금" 요금 정책 적용할 듯 · Verizon Communications Dick Lynch CTO는 LTE 네트워크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단말 종류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선택의 여지가 많은 고객들이 Verizon 매장에서 .. 더보기
iPhone, 해외 시장 기반 확대로 2010년 3,600만대 판매 전망…전년 대비 40% 성장 ◎ Key Message - Apple은 올해 유럽과 중국 등지의 해외 시장으로 iPhone 판매망을 확대함에 따라 전년 대비 40% 증가한 3,600만대가 판매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올해 iPhone 신규 모델이 출시되면 기존 시장에서도 신규 수요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News Brief - ⊙ iPhone, 2010년 3,600만대 판매 전망…유럽, 중국 등에서 판매망 확대 · 2010년 iPhone 예상 판매량은 지난해 판매량 추정치에서 40% 증가한 3,600만대로 예측됨 · Apple은 프랑스, 캐나다, 영국 등지에서 2개의 이통사업자를 추가로 확보한 것은 물론, 중국시장 판매 개시로 인해 올 한해 동안 중국에서만 160만 대의 iPhone이 판매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 .. 더보기
스마트폰 벤더 및 OS별 모바일 웹 Traffic 비중 ○ 美 모바일 광고업체인 AdMob이 지난 12월 18일 발표한 ‘November 2009 Mobile Metrics Report’에 따르 면, 다수의 신규 Android 단말 런칭 및 iPhone 보급 확산 등으로 스마트폰을 이용한 모바일 웹 Traffic 이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짐 - 특히 미국에서는 WiFi를 통한 트래픽 비중이 전년도 8% 대비 3배나 성장한 24%를 기록했음 ========================================================================================== ● 출처 : 스트라베이스 www.strabase.com ● 주요 관련 키워드 : AdMob, 애드몹, 모바일 광고, Android OS, 안드로이드 단말, 스.. 더보기
iPhone, 음악을 ‘스트리밍’ 할 것인가?... Apple이 Lala를 인수한 이유 [News] 온라인 음악서비스 시장의 절대 강자 Apple이 12월 4일 온라인 스트리밍 음악 제공업체 Lala[1]의 인수 의사를 밝혔다. 시장 일부에서는 Apple이 Lala를 자사의 서비스 구조 안으로 끌어옴으로써 기존의 다운로드 모델에서 스트리밍 모델로 서비스 전략을 확대하는 것이 아닌가라는 추측을 제기하고 있으나 다른 한편에서는 결합에 따른 당장의 시너지 효과가 불분명한 이번 인수의 배경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News Plus] Lala는 1회 무료 스트리밍과 곡당 과금제(a-la-carte)라는 혼합 요금제를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음악 사업자다. Lala가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자들은 자신이 듣고자 하는 곡을 첫 1회에 한해 무료로 들을 수 있고 이후에는 10센트에 무제한 스트리밍 서비스로.. 더보기
스마트폰 이용자의 모바일 쇼핑 증가…단말기별로 최적화된 서비스 제공 필요 ◎ Key Message - 시장조사업체 Compete는 2009년 3분기 스마트폰 이용실태 조사결과 스마트폰 이용자들이 휴대폰으로 쇼핑하는 것을 선호하고 있지만, 모바일 사이트의 빈약한 성능으로 인해 m-Commerce 사용을 중도에 포기한 경우도 적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며 스마트폰 기종에 따라 최적화된 m-Commerce 서비스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 News Brief - ⊙ 스마트폰 이용자 m-Commerce 사용 비율 높아…음악, 도서, 영화 티켓 등 구매 · 시장조사업체 Compete가 스마트폰 이용자들을 상대로 2009년 3분기 스마트폰 사용 행태(Q3 2009 Smartphone Intelligence)를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2009년 3분기를 기준으로 지난 6개월간 스마트폰으로 휴.. 더보기
2009년 티핑 포인트 넘어선 증강현실, 2010년 ‘대중화 단계’로 돌입 ◎ Key Message - 주로 학계와 SF 영화 등 전문적인 분야에서 사용되어 왔던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 이 2010년에는 웹캠이 있는 모든 단말에서 활용되는 보편적인 기술로 자리매김하며 일반 소비자를 대상으로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 News Brief - ⊙ 웹캠 사용 증가로 증강현실 사용 범위 확대…쌍방향성 강화될 듯 · 증강현실 도입 초기에 소비자들은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을 쌍방향 쇼핑, 잡지, 모바 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접할 수 있었음 - 대부분의 신규 PC와 노트북 컴퓨터에 웹캠(webcam)이 기본으로 내장되면서 증강현실 기술이 소비자 친화적으로 다가갈 수 있는 가능성이 증대되었음 · 증강현실은 앞으로 여러 개의 웹캠을 사용해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