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트라베이스 Reports

무선 VoIP, 의료현장 도입 위해서는 적극적인 투자와 포괄적 계획 필요

◎ Key Message -

종합병원 등 의료시설의 통신환경 개선 대안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무선 VoIP가 정작 의료진의 실무에 큰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설비투자 부족과 부실한 네트워크 설계로 인해 안정적인 통화가 어려울 때가 많고, 환자 처치 중에 전화가 걸려올 경우 오히려 업무에 방해가 될 위험도 크기 때문이다. 의료분야 IT 전문 시장조사업체 Spyglass Consulting이 일선 간호사들을 상대로 최근 실시한 설문 결과, 병원 내 무선 VoIP 네트워크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토로한 비율은 해당 전체 응답자의 71%에 달했다.

◎ News Brief -

  ⊙ 병원의 무선 VoIP 도입, 투자 인색하면 실효성 담보 어려워

 

     · 의료분야 IT 전문 시장조사업체 Spyglass Consulting이 현직 간호사 100여 명을 대상으로 최근

       실시한 설문 결과, 병원 내 무선 VoIP 통신이 당초 기대만큼의 실효성을 담보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음(해당 보고서: ‘Point of Care Communications for Nurses’)

 

       - 근무하는 병원에 무선 VoIP가 도입됐다고 밝힌 비율은 전체 응답자의 66%에 달했으나, 그들

          중 71%는 해당 네트워크 구축계획이 처음부터 부실했다고 토로

 

       - 비용 절감을 위해 특정 병동으로 장비 설치를 한정한 탓에 커버리지 공백이 많고 안정적인

          통화도 어려움(통화가 갑자기 끊어지거나 간섭현상으로 방해를 받는 경우가 잦음)

 

       - 아직은 무선 VoIP 지원형 단말 공급이 원활하지 못한 것도 문제점 중 하나

 

  ⊙ 실무진 니즈까지 반영한 포괄적 계획 필요
 

     · 투약 등 환자 처치 중에 전화가 걸려올 경우, 오히려 업무에 방해가 될 위험이 크고 경우에 따라

       서는 법적 문제도 발생할 수 있음

 

       - 병원 환경의 특수성으로 인해 걸려온 전화를 무시하기 어려울 때가 많으나, 그로 인해 환

          처치가 지장을 받을 경우 의료수가 수령에도 차질이 발생할 수 있음

 

     · 휴대전화, 호출기, VoIP 단말 등 다수의 통신단말을 함께 갖고 다녀야 하는 번거로움은 실무에

       결코 유익하지 않다는 것이 일선 의료진의 토로  

 

     · 따라서 병원내 무선 VoIP 도입을 위해서는 계획 초기단계부터 일선 의료진의 참여 수반 필요

 

======================================================================================

 

● 출처 : 스트라베이스 www.strabase.com

● 주요 관련 키워드 : 병원, 무선 VoIP, 통신환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