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트라베이스 Reports

게임업계의 `부분유료화` 열풍...국경과 플랫폼을...

링크: http://bit.ly/o9df0y

 

 

[News]
무료로 게임을 즐기면서 아이템 및 신규 캐릭터 판매 등으로 수익을 올리는 부분유료화(Free to Play) 게임이 중국과 한국 일변도에서 중심으로 미국과 유럽으로 확산되고 있다.

정액제와 게임타이틀 판매를 주요 비즈니스 모델로 채택한 글로벌 게임업체 들이 부분유료화를 병행하는 모습이 점차 늘어나면서, 부분유료화 중심의 게임산업 생태계가 점차 자리매김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특히 DFC 와 SNK Kagan 등과 같은 시장조사업체들은 부분유료화 모델이 국경과 플랫폼을 넘어 게임산업 전반에 이식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News Plus]
부분유료화 모델의 성과가 가장 두드러지는 부문으로는 단연 소셜게임이 꼽힌다. 이들 게임은 Facebook이나 Google+ 같은...

 

<Figure 1> 소셜게임 내 유료아이템과 광고수익 변동 추이
<Figure 2> App Store 매출액 상위 100개 유/무료 게임 앱 매출액 비중
<Figure 3> "Steam"에서 제공 중인 부분유료 온라인게임 사이트 화면
<Table 1> "Steam" 일일 접속 게이머 현황

 

[View Point]
부분유료화 모델은 얼마 전까지만 해도 아시아권 MMO 게임 일부의 틈새 형 요금제로 간주된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근래 들어서는......

 

<Figure 4> 정액제 게임을 즐기는 게이머들의 시간과 비용간 상관관계
<Figure 5> "Convenience Model"에서의 게이머 만족도

 

 



P 스트라베이스님의 파란블로그에서 발행된 글입니다.